대통령의 사저로 배일에 쌓여있던 청와대가 개방된 지도 벌써 1년이 지나갔습니다. 2022년 5월 10일 이후로 개방되어 엄청난 관람예약 경쟁률을 보였고 청와대를 실제 관람한 분들의 후기와 만족도 또한 높았습니다.
과거와 미래를 관통하는 역사문화의 공간인 청와대 관람을 아직 못하셨다면 이번 기회에 꼭 관람신청을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거두절미하고 이제부터 청와대 관람 신청방법과 입장료, 그리고 가장 중요한 예약 성공 노하우도 놓치지 말고 확인해 주세요.
1. 청와대 관람신청 예약 방법
1) 청와대 관람 신청 방법
청와대 관람 신청하는 방법은 청와대 예약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관람예약을 선택해 줍니다. 원하는 예약날짜와 시간 그리고 인원은 선택한 후 본인인증을 통해 예약을 진행해 줍니다.


2) 관람시간 및 입장료
관람시간은 시즌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3~11월까지는 9시에서 18시까지 (입장마감 17시 30분)
12~2월 겨울시즌에는 9시에서 17시 30분까지(입장마감 17시) 관람이 가능합니다
청와대 관람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청와대 관람 시 좀 더 풍부한 지식과 설명을 얻고 싶으시다면 아래 나와있는 관람 해설 시간에 맞춰 이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3) 예약 노하우
사실 청와대 개방 직후 하루에 많게는 십만 명 이상의 신청자가 몰리면서 예약 대기가 길고 예약을 성공하기가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주말을 피해 평일이나 오전시간을 이용하신다면 예약이 훨씬 수월해졌고 관람 또한 붐비지 않는 환경에서 충분히 즐기실 수 있습니다.
2. 청와대 가는 방법, 주차 팁

1) 대중교통 이용방법
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1711, 1020, 7018, 7016, 7022, 7121번 버스를 이용하여 '효자동 정류장'에서 하차해 주세요.
전철이용은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 안국역 1번 출구로 나와 도보로 약 15분 이동하시면 청와대에 도착합니다.
2) 자차이용방법
청와대 방문을 자차로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경복궁 내 주차장은 혼잡할 확률이 높습니다.

경복궁 주차장보다는 다소 가격이 비싸지만 근처 국립현대미술관 주차장을 이용하시면 조금 더 주차를 편하게 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3. 관람 전에 알면 좋은 청와대 관련 정보
청와대를 관람하기 전 관련 정보를 어느 정도 알고 가신다면 관람의 재미가 배가 될 수 있습니다.
청와대의 주요 역사와 시설, 유적 정보를 요약해서 소개해 드릴 테니 한번 읽어보신 후 관람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1) 청와대의 역사
<고려시대>
청와대는 북악산을 뒤로 두고 있는 종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려시대 이궁이 있던 자리입니다.

청와대 주변의 지역이 역사에 처음 등장하여 기록된 것은 고려 숙종 1104년 무렵으로 숙종 때 이곳에 이궁을 설치하고 남경(남쪽의 서울)으로 삼았습니다.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청와대 지역이 경복궁 후원의 터로 자리 잡았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1394년 특별기구를 만들고 관리들에게 새 궁궐터를 찾도록 명하였습니다.
이에 관리들은 청와대가 위치한 당시 이궁의 자리는 너무 좁으니 좀 더 남쪽으로 내려가서 궁궐을 짓는 게 좋겠다고 임금에 보고하였습니다.
이렇게 이금해 9월 청와대 남쪽에 위치한 경복궁이 탄생하게 됩니다.

이후 경복궁은 1592년 임진왜란 당시 후원과 함께 완전히 폐허가 되었고 이후 고종 2년 1865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다시 재건됩니다.
<근대 이후>
일제 강점기 시대에는 조선박람회와 경무대 자리라고 경복궁 후원이 사용되었습니다.
그 후 광복이 온 다음부터는 미군정 사령관의 관저로 사용되었다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층은 집무실, 2층은 관저로 사용하면서 대통령이 처음으로 사용하는 장소로 재탄생합니다.
이후 경무대라는 명칭의 인식이 좋지 않음을 의식하여 1961년부터 청기와를 덮은 의미의 청와대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2) 주요 시설 정보
청와대의 주요 시설을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북쪽에는 청와대 본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동쪽으로 대통령 관저 그리고 아래쪽 중앙에는 영빈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① 청와대 본관
② 영빈관
③ 대통령 관저
④ 수궁터
⑤ 상춘재
⑥ 녹지원
⑦ 여민관
⑧ 춘추관
⑨ 무궁화동산
⑩ 칠궁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알뜰폰 요금제 변경으로 돈 아끼는 방법 (feat. 우체국, 허브 이용하기)
알뜰폰 요금제 변경으로 돈 아끼는 방법 (feat. 우체국, 허브 이용하기)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하여 많게는 월에 3 ~5만 원까지 통신요금을 아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분들이라면 대부분 3대 통신사 SK, KT, LG를 통해 휴대폰 요금제를 이용하실
on.allyoublog86.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거급여 신청자격 확인해보셨나요? 지원금액 및 수급자혜택 (0) | 2023.05.02 |
---|---|
행복주택 입주조건과 신청방법 성공하기 (0) | 2023.04.30 |
한글 문서 파일 읽기전용 해제하는 방법 [초간단] (0) | 2023.04.25 |
챗 gpt 4.0 한국어 설치 및 사용법 간단 정리 (chatgpt site) (0) | 2023.04.20 |
알뜰폰 요금제 변경으로 돈 아끼는 방법 (feat. 우체국, 허브 이용하기) (0) | 2023.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