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의 차이점과 활용방법 간단정리

by ∂⊆▨¶ 2023. 10. 25.
반응형

전자여권은 21년 12월 21일부터 발급이 시작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세대 여권입니다.

 

전자여권-일반여권-차이

 

기존 여권 만료기간이 남아있다면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지만 차세대 여권은 무엇이 달려졌는지 어떤 장점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세대 전자여권 달라진 점

1. 표지 디자인

기존 녹색바탕의 여권에서 차세대 전자여권은 남색으로 색상이 변경되었습니다. 표지 및 사증란의 디자인은 한국의 이미지와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고 물리적, 디지털 보안요소를 적용하여 위변조 방지에 좀 더 강하게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2. 개인정보면

개인정보면을 보시면 기존 종이재질에서 내구성 및 보안성이 강화된 폴리카보네이트로 변경되었습니다.

여권번호는 기존에 숫자 8자리에서 숫자 7자리와 영문자 1자 조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개인정보면의 연월일 표시에서도 변화가 있으며 영문 월 표기를 모르는 분들을 위해 한글 월표시가 추가된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주민번호 뒷자리 표기도 제외되었습니다.

 

3. 사증면

사증면의 경우 기존 디자인 보다 좀 더 컬러감이 있는 형태로 바뀐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증면수도 기존에 비해 확대되었고 이로 인해 기존 사증란 추가 제도가 폐지되었습니다.

 

전자여권 신청하는 방법

차세대 전자여권을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자여권은 온라인을 통해서 편리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을 위해서는 정부 24 홈페이지로 먼저 접속해 줍니다.

 

홈페이지 접속 후 검색창을 통해 온라인 여권 재발급 신청 서비스로 이동해 줍니다.

 

여권 재발급 온라인 신청에서 신청하기를 클릭하시면 공인인증 로그인 후 차세대 전자여권 신청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여권 신청 후 기존 여권의 유효기한이 남아있는 경우라면 꼭 신규여권 수령 시 기존 여권과 신분증을 같이 지참해주셔야 합니다.

 

신규여권 수령 시 유효기한이 있는 기존여권은 반납해 주시고 수령이 가능합니다.

 

여권 발급에 걸리는 소요시간은 대략 일주일정도이며 여권발급 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권발급 수수료

국내 복수: 10년 53,000원, 5년 45,000원

국내 단수: 20,000원

 

지금까지 차세대 전자여권과 일반여권의 차이와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차세대-전자여권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2023.05.14 - [생활정보] - 창경궁 후원 관람예약 야간개장 입장료 확인하기

 

창경궁 후원 관람예약 야간개장 입장료 확인하기

경복궁과 더불어 창경궁은 서울에서 가장 접근성이 좋은 궁궐로 많은 분들이 관람하고 즐기는 곳입니다. 야간개장도 가능하므로 창경궁 후원을 관람하실 분들이라면 관람정보를 꼭 확인하시고

on.allyoublog86.com

2023.04.16 - [생활정보] - 알뜰폰 요금제 변경으로 돈 아끼는 방법 (feat. 우체국, 허브 이용하기)

 

알뜰폰 요금제 변경으로 돈 아끼는 방법 (feat. 우체국, 허브 이용하기)

알뜰폰 요금제로 변경하여 많게는 월에 3 ~5만 원까지 통신요금을 아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분들이라면 대부분 3대 통신사 SK, KT, LG를 통해 휴대폰 요금제를 이용하실

on.allyoublog86.com

 

전자여권
차세대여권

 

반응형

댓글